독서
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1장. 깃 시작하기

찐공log 2022. 1. 21. 03:02

언제 산건지도 기억이 안나는 깃 책!

git으로 소스 관리를 해보고자 블로그에 정리를 시작해봅니다.

생활코딩 이고잉님과 고경희님이 집필하신 책입니다.

구입한지 2년은 넘은것 같은데 이제야 읽는.. 😂

 

책의 진도표를 보면 하루면 이 책을 끝낼 수 있다고 합니다.

하루 혹은 5일 완성 코스가 있습니다.

 

 

깃(Git)의 핵심기능

문서관리자 깃은 버전 관리, 백업, 협업 의 중요한 3가지 기능이 있습니다.

이런 것들을 어떻게 깃으로 관리 할 수 있는지 책의 순서대로 배워봐요.

 

 

깃 설치하기

깃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자신의 맞는 운영체제에 맞는 것을 내려받아 설치합니다.

https://git-scm.com/

저는 맥북으로 실습해서 맥북환경으로 실습을 하지만, 깃은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OS 마다 명령어 차이가 없습니다.😀

터미널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깃을 설치합니다.

brew install git

brew 명령어는 homebrew를 설치하면 되는데요.

https://brew.sh/index_ko 이곳을 참조하시면 됩니다.

설치가 잘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을 입력하여 아래처럼 명령어 옵션들이 출력되는지 확인합니다.

깃 설치 성공!

 

깃 환경 설정하기

깃을 사용하기 전에 우선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.

문서를 수정 후 저장할 때마다 누가 했는지 이 정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.

global 옵션은 현재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저장소에서 같은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.
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zzingong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opmina72@naver.com"
 

 

 

간단 리눅스 명령어

🌀ls 명령 옵션

-a : 숨긴파일과 디렉터리 표시

-l : 파일과 디렉터리의 상세정보 출력

-r : 파일 정렬 순서 거꾸로 출력

-t :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(내림차순) 출력

 

🌀rm 명령 옵션

-r : 디렉터리 안에 있는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까지 함께 삭제

 

🌀cat(concatenate : 연쇄하다) 명령 : 화면에 내용 출력

cat 파일 : 화면에 파일 내용 출력

cat 파일1, 파일2... 파일n > 새파일 : 파일 n개를 차례로 연결해서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.

cat 파일1 >> 파일2 : 파일 1의 내용을 파일2 끝에 연결한다.

 

깃에서는 기본편집기로 vim을 사용합니다만, 아래처럼 기본 편집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notepad++"

 

편집기 이름 대신 편집기 실행 파일 경로를 입력해도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