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.01.21 - [독서/IT・컴퓨터] - 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5장. 깃허브로 협업하기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5장. 깃허브로 협업하기
2022.01.21 - [독서/IT・컴퓨터] - 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4장. 깃허브로 백업하기 1.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(1)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git clone 원격 저장소를 기존
zzingonglog.tistory.com
1.깃허브 프로필 관리하기
깃허브에 자신의 정보나 프로필 사진을 올릴 수 있습니다. 이 부분은 깃허브를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아는 부분이라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.😉
2. README 파일 작성하기
많은 깃허브 사용자는 방문자가 편하게 자기 저장소를 살펴볼 수 있도록 안내문을 만들어 첫 화면에 띄어둡니다. 이를 README 문서라고 합니다.
(1) README 파일 만들기
README 파일은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하므로 확장자는 .md 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eVEG/btrrlTvcOP6/b2D2QKBxdfmWH6G9aoRifk/img.png)
저장소에서 add a README 버튼을 통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FvhT/btrrotpe6uZ/j2CLEm5XABB21nCPOUWbL0/img.png)
문서 작성시 줄을 바꾸려면 엔터를 두 번 눌러야 합니다.
수정이 완료됐으면 Commit new file을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Ozay/btrrqnag34H/6Hz0ZeKuFpNXoEbr8BBch0/img.png)
저장소 첫 화면에 작성한 README 파일의 내용이 나타납니다.
(2) 마크다운 문법 알아보기
README파일의 확장자가 .md인 것은 마크다운 형식으로 작성되기 때문인데요.
마크다운은 사용이 쉽고 html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문서 작성이 편리합니다.
단 마크다운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, 사이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마크다운은 아래 url에서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어요.
https://guides.github.com/features/mastering-markdown/
(3) 깃허브에 이미지 올리고 README에 삽입하기
1️⃣ 사용자 컴퓨터에 이미지 디렉터리를 만들어 둡니다. 이미지를 계속 추가하면서 사용할 예정이라면 지역 저장소 안에 넣어두는 것이 관리하기 쉽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r5CX/btrrq0TqxJj/YkjcgkY81WsMh5UyL68AV1/img.png)
2️⃣이미지를 사용할 저장소에 접속한 후 Upload files를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Bpea/btrrotJwjno/G3jwc7xrnGSuklldWSzfaK/img.png)
3️⃣파일 탐색기에서 아까 만들어준 images 디렉터리를 누르고 깃허브 저장소로 끌어옵니다.
4️⃣이미지 파일을 올렸으면 Commit changes를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p1tVd/btrrqcs6mgI/aLK64Xw3WkSydLLvGZCagK/img.png)
5️⃣이제 이 이미지파일을 README 문서에 넣어봅시다.
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.
![대체 텍스트 입력](./images/test.jpeg)
6️⃣수정이 완료됐으면 README 파일을 커밋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QBaud/btrrpnPnnU0/jAwOhTDOhsByLyK5FB8BEk/img.png)
7️⃣이미지가 나타나게 됩니다.
이미지 파일 이름이 한글일 경우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니 영문으로 작성해주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Gp0l/btrrj0gTQYz/OHb6hnX1NxBVHBFeVWgiV0/img.png)
3.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기
(1) 컨트리뷰션의 종류
깃허브에서 기여 활동을 나타내는 말인 컨트리뷰션에는 소스의 버그를 수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오픈 소스에 도움이 될만한 거의 모든 활동이 포함됩니다.
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분야는 소스 코드 수정입니다. 개발 능력을 갖춘 사용자라면 오픈 소스의 버그를 찾아서 알려주거나 찾은 버그를 수정하는 등 오픈 소스 자체를 수정하는 활동입니다.
(2) 오픈 소스 저장소 복제하기
이 책의 저자의 저장소를 한번 복사해볼게요.
오픈소스 저장소 복제하는 방법은 저장소의 오른쪽 상단의 Fork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fp1S/btrrpEDnU0O/1XdVKoK2Yriay5Dfwt1nM0/img.png)
그러면 내 계정에 해당 저장소가 복제되어 있을 것입니다.
해당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로 클론하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내가 수정한 부분을 원본 저장소의 개발자한테 합쳐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풀 리퀘스트입니다.
(3) 포크한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로 클론하기
포크한 소스는 깃허브의 원격 저장소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 컴퓨터로 저장소를 복제한 뒤 지역 저장소에서 수정하고 푸시합니다.
git clone 복사한 주소 doit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LiZZ/btrrpmCVya9/g8LQxyNtzB1cjrPd38crq0/img.png)
복제가 완료되어서 doit 디렉토리가 생성되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4Anb/btrrpVd2r7Z/yNEKFGyKrzFFYdZLhQxTs0/img.png)
여기서 demo.txt파일을 열고 간단한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합니다. 그리고 커밋을 합니다.
그리고 git push 명령으로 수정한 파일을 원격 저장소로 올리면 커밋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kZbm/btrrpFbbNAg/lpiIkSknRhcejyZmV1jCG0/img.png)
(4)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풀 리퀘스트 보내기
포크해 온 원격 저장소의 새로운 커밋을 원본 저장소에 합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 원본 저장소의 개발자에게 내가 수정한 것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해야합니다.
이 요청을 풀 리퀘스트라고 부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8UvJ/btrrqMOr4xA/ffZd7xRhWb7kEJDXlzULc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3DjY1/btrroFXeW65/Z58zq4CVkXm6bky2jrA5xk/img.png)
원본 저장소(peacein/doit)의 master브랜치와 복제된 저장소의 master브랜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여줍니다.
여기서 Create pull request를 누르게 되면 요청이 됩니다.
4. 깃허브에 개인 블로그 만들기
GitHub Pages 기능을 사용하면 별도의 웹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료로 자기만의 홈페이지를 열 수 있습니다. 여기서는 이 기능을 사용해 개인 블로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
(1) GitHub Pages 알아보기
저장소에 홈페이지 파일을 올린 뒤 저장소의 주소를 그대로 홈페이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혹은 미리 만들어진 테마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즉, 깃허브 저장소를 웹 서버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GitHub Pages는 포트폴리오나 기술 문서 같이 정적인 페이지를 제공할 때 사용하기가 좋습니다.
GitHub Pages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요.
홈페이지 부트스트랩 등의 html 파일을 올리거나, 깃허브에서 지원하는 지킬 테마를 가져다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.
검색하여 오픈 소스 저장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.
(2) 홈페이지 파일이 있을 때 GitHub Pages 사용하기
먼저 계정 옆의 + 버튼을 누르고 New repository 를 클릭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Y64F/btrro5uuIen/rogEMj4Sp8bJd8CgazZOa1/img.png)
위 그림 처럼 Repository name 필드에 계정명.github.io 라고 입력합니다.
그리고 아래 Add a README file 에 체크를 반드시 하고 Create repository를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Uthz/btrrpTN0YGv/ykasu7vICzcyK928vLjRPK/img.png)
그 다음 Upload files를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rvnO/btrrqNGA7f4/kRuP3Q0eYdmF5AACDMuR2k/img.png)
그리고 드래그앤드랍으로 images 폴더나 css 폴더, html 파일을 넣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9pDT/btrrpFI24Ch/smqODa6TgBvdvx52wEGjr0/img.png)
저장소에 여러 파일을 업로드 했다면 이제 홈페이지를 확인해봅니다.
깃허브 저장소 화면에서 Settings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HFqK/btrrn1zIYWT/KHNK6MJwK3HqTlIJJf2cH0/img.png)
화면을 아래로 내려서 GitHub Pages 항목을 찾습니다. Check it out here!을 누르면 사이트가 제대로 만들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날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AWOf/btrrjZWy7hv/iVCaJWzLZr1RuGDQqqBUQ1/img.png)
실제로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해서 제대로 열리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(3) 홈페이지 파일이 없을 때 GitHub Pages 사용하기
지킬 테마는 GitHub Pages로 블로그나 사이트를 열 때 쓸 수 있는 디자인과 스타일 모음을 말합니다.
아래와 같은 사이트를 참고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테마 소스를 그대로 포크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95kq/btrrosX9RvT/NswCdOJ5mJ8tGP9qAWpyiK/img.png)
우선 jekyll-now로 검색을 하여 barryclark이라는 사람의 jekyll-now를 포크해봅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niIM/btrrktpZEIo/nzBHMSE5Wol6WkzdRdQPkK/img.png)
그러면 깃허브 계정 안에 jekyll-now 저장소가 복제됩니다. 저장소를 GitHub Pages로 사용하려면 저장소 이름을 '계정명.github.io'로 바꿔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3Pnf/btrrktwLiqh/GRuTq4UGglbnxLcBUPJlfk/img.png)
setting에서 Repository 이름을 zzingongLog.github.io로 입력하고 rename합니다.
지킬 테마를 사용하려면 가장 먼저 환경을 설정해야합니다. 저장소에 있는 파일 목록 중 '_config.yml' 파일을 누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hloX/btrrpoAKuVR/QaBLslkv6FzHI6WGmT0kQK/img.png)
파일을 수정하여 같이 홈페이지에 표출할 정보들을 작성하고 커밋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S6B0/btrroXwAfPG/lw7OxKio2mHkLpdhc00eW0/img.png)
블로그가 생성되었습니다.😄 변경내용이 적용되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니 몇 분 정도 기다려주세요.
(4) 블로그에 포스트 작성하기
지킬 테마에서 블로그 포스트는 _posts 디렉터리에 저장됩니다. 깃허브 저장소에서 _posts 디렉터리를 열어봅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Dhts/btrroculHHI/FfoOvzKz2R610UBarFEXY1/img.png)
포스트 파일이름은 20xx-x-x-파일이름.md 형식입니다. 포스트는 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해 작성해야 합니다.
수정버튼을 눌러봅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3SRv/btrrpTAuloV/S2L3xOcxNlodSuEOkrGJF1/img.png)
여기서 ---부터 ---까지는 모든 포스트에 꼭 들어가야합니다.
layout:post는 수정하면 안되고 title 부분은 포스트 제목입니다.
새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--- 부터 --- 부분을 복사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KhS8/btrrpVd2uTT/z2R6Orjskf5dC2BkfUtx30/img.png)
새 파일을 만들어서 작성합니다. 파일명은 20xx-x-x-파일이름.md 형식에 맞추어야 합니다.
입력이 끝났으면 커밋합니다.
웹브라우저에서 확인해봅시다.
실제 나타나는데에는 시간이 약간 걸릴 수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uTJw/btrrqNT8mgu/pgp36eT8n5TMdbyUsMF6t0/img.png)
포스트가 추가된 것이 잘 보입니다!
(5) 포스트에 이미지 삽입하기
jekyll-now 테마에서는 images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곳에 이미지를 넣습니다.
그리고 포스트를 수정하여 아래의 형식에 맞추어 이미지를 지정합니다.
![대체텍스트](/images/파일이름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UO0S/btrrpnu3rqI/uk7VvZOkCgSLwsStL86bc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1fJL/btrrktpZEOF/0KGp503TflTiOUTURBoemK/img.png)
커밋을 하기 전에 Preview 를 눌러 이미지가 제대로 보이는지 확인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94Sb/btrrpn9D1Lp/QpYIX2BJHkWEMf5i9eP0t0/img.png)
브라우저에서도 제대로 나타나는 것이 보입니다.
'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SCode)에서 깃 활용하기 (0) | 2022.01.22 |
---|---|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5장. 깃허브로 협업하기 (0) | 2022.01.21 |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4장. 깃허브로 백업하기 (0) | 2022.01.21 |
[지옥에서 온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] 3장. 깃과 브랜치 (0) | 2022.01.21 |